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서버 등 운영체제(OS)

(78)
SSH, Telnet 접속 프로그램 putty SSH 쉘 또는 텔넷으로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는 PuTTY 프로그램입니다. 사용법은 Host Name에 도메인주소 혹은 IP주소를 입력한후, 접속하시면 되는데요. Port는 기본설정(ssh:22)가 되어있으나 간혹 어떤 서버의 경우 포트를 바꿔놓은경우가 있으니 이럴경우 포트번호를 바꿔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자주 접속하시는 서버의 경우에는 아래 Saved Sessions에 저장을 하는데요. 위에 우선 호스트네임을 입력하시고 두번쨰로 saved sessions에 기억하고싶으신데로 입력하신뒤 save를 누르시면 끝입니다.^^
xe 1.7.3.0 http://puu.sh/2i11y http://xe.yjhoon.com/ XE 1.7.3.0 을 서버에 테스트로 설치해보았다. Nginx 기반이라 xe용 rewrite를 server { 탭에 include 해주었다. (로컬용과 /xe/ 폴더용이 따로 있다.) MySQL 설치를 InnoDB로 해서 설치를 하였다. 속도는 체감상으로는 잘 모르겠으나 인터페이스가 많이 좋아졌다. 특히 관리자 페이지가 새로이 바뀐점이 마음에 든다. (적응을 좀 해야할듯 ^^;;) 다음주에 서버 바이오스를 업그레이드한후 램을 증설할 예정인데, 속도가 더 올라갈지.. 는 모르겠다.
우분투 서버시간 동기화 ohc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서버의 시간이 정확해야 한다. (동기화 된 상태여야 한다.) 그런데 내 서버가 동기화를 여러번 수동으로 해주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시간이 엇나가서.. 왜그런진 모르겠지만 일단 동기화 명령어는 rdate -s time.bora.net 그리고 crond에 위 명령어를 5분마다 실행하게 넣어줬다.
D2GS for 64bit Windows 64 Bit 환경에서 d2gs (디아블로2 게임서버)를 가동하면 처음에는 작업관리자 목록에도 나타나지 않는다. 즉 실행조차도 되지 않는다. 왜 그런가 했더니, 레지스트리 주소가 다르다. 원본주소 : http://forums.pvpgn.org/index.php?topic=1326.0 d2gs.reg 를 오른쪽마우스버튼 > 편집으로 들어가 [HKEY_LOCAL_MACHINE\SOFTWARE\D2Server\D2GS] 를 [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D2Server\D2GS] 로 고쳐준뒤 적용하고 실행하면 정상 작동된다.
우분투 htop htop은 CPU와 메모리 그리고 실행중인 프로세서들을 위 사진과 같이 출력해준다. ... 서버 자원이 남아 도는 상황이다 -_-) CPU AMD Opteron 2.8 *4 (Quad Core) RAM 2GB DDR1 ECC HDD 80GB + 120GB SATA MAINBOARD Asus k8n-dre 아래의 패키지 설치 명령어로 손쉽게 설치가능. # apt-get htop install 실행할때에도 아래 명령어를 쳐주면 된다. 퇴장할때는 CtrL+C를 해주면 된다. # htop
리눅스서버 HDD 포맷 리눅스서버가 디도스로 데이터가 날라간겸.. 120기가짜리는 믿을게 못되어 백업하드로 내려버리고 80기가짜리를 추가 장착했다. 근데 문제가 생겼다. 120GB짜리가 포맷이 안되는것이다. root@ubuntu:~# mkfs.ext4 /dev/sda mke2fs 1.41.14 (22-Dec-2010) /dev/sda is entire device, not just one partition! Proceed anyway? (y,n) y /dev/sda is apparently in use by the system; will not make a filesystem here! 문제를 찾아보니... 답은 스왑디스크에 있었다. 120GB하드는 /dev/sda 로 시작되는데, /dev/sda5 가 스왑에 물려있었던것 !!..

반응형